2025년 4월 다이어리

이미지
AI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  ChatGPT를 사용해서 기존에 찍은 인물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주는게 유행이다.  그래서 나도 2024년 홍콩여행 사진으로 만들어 보았다.  위 이미지를 만든 프롬프트 Convert this photo into a Studio Ghibli-style painting. Keep the original background and outfits, but apply a soft and dreamy color tone. 사원증 사진도 지브리 스타일로 4월 24일 자동차 에어컨 필터 주문 PM 등급이 좋은 필터를 사용해야 좋다고 하고 작년에 셀프로 교체를 해봤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서 올해에도 쿠팡으로 구매 후 셀프 교체 

2025년 3월 다이어리

3월 1일 블로그 정리, 게시글 정리 3월 10일 최근 작업중인 사이드 프로젝트 정리해서 블로그 작성 https://skshpapa80.blogspot.com/2025/03/2025-03-10.html 3월 18일 델마당 카페에 게시물 작성 제 github 리포지토리 소개 https://cafe.naver.com/delmadang/2830

9. Codeigniter Web 개발 아르바이트

2018년 지인의 요청으로 하게 된 Web 개발 아르바이트 입니다. 요청사항 민간 자격증을 개설하여 시험을 보고 수험자들에게 자격증을 발급하는 일을 주로 하는 곳인데 그 수험자 정보를 엑셀로 관리하고 있다 보니 체계적으로 관리도 안 되고 매번 시험을 볼 때마다 엑셀에 입력하는 것도 쉽지 않고 1년에 자격증 시험을 여러 번 보다 보니 데이터 관리를 힘들게 하고 계셨어요. 그래서 처음에는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주면 좋겠다고 하셨는데 제가 웹사이트로 만들어 드리고 거기에다가 입력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확인도 가능하다고 하니 그럼 웹 개발로 의뢰를 해주셨습니다. 개발시작 우선 저렴한 웹호스팅 업체를 찾았습니다. 사용량이나 일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오픈할게 아니라서 트래픽이나 용량이 아주 클 필요는 없을 거 같았어요. 그러다 여러 곳을 알아보았는데 세금계산서가 되는 카페24 웹호스팅을 선택했습니다. 처음에는 PHP를 이용해서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 예전에 만들었던 게시판 소스를 활용하면 될 거 같았는데 생각보다 일이 많더군요. 그래서 웹 프레임워크를 찾아보았습니다. Codeigniter는 처음 써보는 건데 이번에 한번 써보면 좋을 거 같아서 기존 소스를 날리고 새로 작업하는데 웹 프레임워크의 도움으로 일이 훨씬 줄어드네요. 기술스펙 까페24 웹호스팅 PHP, MariaDB 웹프레임워크 Codeigniter 3 디자인 Bootstrap Javascript : Jquery 기능 홈페이지 : 메인페이지 및 게시판(공지사항) 시험관리, 시험사진 등록(5장) 시험별 수험자 등록, 수정,삭제, 점수등록 시험 접수 원서 출력물 생성 시험별 등록자 엑셀 다운로드 스크린샷

2025-03-10 최근에 작업중인 사이드 프로젝트

이미지
사이드 프로젝트 목록 작업중인 화면 스크린샷 – 영상은 2019 KCON 뉴욕 아이즈원 LZBasePlayer – Lazarus 를 이용해서 DirectShow 동영상 재생기 만들기 완성도 90%, Lazarus 로 예전에 만들어 봤던거 다 만들어 볼 예정 – 나중에 완성하면 Blog 포스팅하고 소스는 github 에 올릴 예정 ASP.NET UI 프레임워크 -WCF 서비스로 Biz 로직을 처리하고 아직 Winform 을 주로 사용하는 일을 주로 하고 있는데 ASP.NET UI로 프레임워크를 만들어 보고 싶어졌음 그래서 ASP.NET UI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음 아직은 진도가 미미하다 곧 완성하고 Blog 포스팅해야지 소스는 회사에서 사용할 거라 공개할 수는 없을 거 같음 – Grid 는 Toast UI 를 사용할 예정 – VisualStudio 를 사용하지 않고 VS Code 만 가자고 개발환경을 구성해 보고 싶음 Flutter 앱 – MySpringNote 노트 기록앱 – 진도 40% 로컬에 노트 기록까지는 작업 완료 PHP 웹프로그램 – 집사람이 만들어 달라고 해서 만드는 Web – PHP, Codeigniter 사용 예정

8.이미지 보정 프로그램

이미지
2005년에 작업했던 이미지 보정 프로그램 예전에 작업한 프로그램으로 수백 장의 스캔받은 이미지를 보정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문서를 이미지 화 시켜서 보관하려거나 PC로 쉽게 오래된 책이나 문서를 찾아보려는 시도를 하는 일이 있었는데요 약 19년 전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 스크린샷 예전 소스를 정리하다가 2005년도에 작성한 이미지 보정 프로그램을 발견했습니다. 이거 만들 때 생각이 나서 포스팅해 봅니다. 이 프로그램은 여러 장의 스캔받은 이미지 파일을 보정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보통 책이나 서류 디지털화하면서 통째로 스캔받는 경우가 있거든요. 스캔받은 여러 장의 이미지(*.tif) 파일의 자동 기울기, 잡티제거, 보정 등을 쉽게 할 수 있게 화면이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며 제작 의뢰업체는 종이 문서를 스캔받아 디지털 작업을 주로 하는 업체에서 의뢰를 받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TIF 이미지 폴더별로 읽어와서 디스플레이 및 편집 마우스로 선택한 곳 삭제, 복사, 붙여넣기 자동 점 제거(2005년도에는 스캐너가 좋지 않아서 점 같은 것들이 많이 보였어요. 1px의 점들을 자동 제거) 자동 기울기 수동 기울기(특정 위치 두 개의 점을 그으면 그 기울기만큼 수동 기울기 조정) 이미지 회전 특징 이 프로그램은 Delphi 7버전으로 개발되었으며 상용 이미지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개발하였습니다. 상용 이미지 컴포넌트 명은 ImagXpress입니다. 그리고 재밌는 게 이때 게임을 리니지 2를 하고 있어서 단축키 F1 : 부분 삭제, F3 : 자동 기울기, F4 : 저장+다음장 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매일매일 리니지 2를 하면서 F1~F4를 계속 누르다 보니 단축키 배치가 추가하면 편할 거 같아서 F1~F4를 적용했네요. 제가 만든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게 편하다고 좋다고 평가받은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2005년 PSP용 음악플레이어

이미지
PSP용 음악 플레이어 예전에 한창 PSP에 빠져 살 때 2005년에서 2006년쯤 PSP용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다가 PSP용 자작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NamulMP for PSP] 이때 사용하던 닉네임을 붙여 만든 PSP 뮤직홈브류입니다. ​2005/12/14 : 첫 번째 버전 ​단지 한글로 된 MP3 목록을 보고 싶다는 이유로 개발하게 된 NamulMP 당시 PSP 펌웨어 1.5에서는 한글 파일명으로 된 mp3를 넣으면 한글 표시가 깨져서 정상적으로 되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한글 목록을 표현하기 위해서 playlist.m3u 리스트를 만들고(PC에서 만들어서 저장함) 그 리스트를 가지고 화면에 표시하는 MP3 플레이어를 만들었습니다. 처음에 사용하게 된 PSP SDK에서 파일 리스트를 한글을 읽어 올 수가 없었어요! ​프로그램에서 MP3 플레이는 libmad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재생했습니다. NamulMP for PSP 1 2005/12/16 : 두 번째 버전 ​OGG 재생 추가 mp3 외에 OGG 파일도 많이 사용하더군요, 재생 중인 파일의 재생 시간 표시 기능 추가 OGG 파일을 재생하는 라이브러리는 libvorbis를 사용해서 OGG 음원 파일을 재생하였습니다. NamulMP for PSP 2 2006/01/19 : 세 번째 버전 디자인 변경, id3tag_v1 지원 OGG 파일 재생할 때 다운되는 버그 잡음 ​2006/11/10 : 네 번째 버전 이어폰에 달려있는 리모컨 지원, 날짜, 시간 배터리 표시 디스플레이 컬러 변경 재생 모드 (SELECT 버튼) : 재생, 반복 재생, 셔플 기능 추가 그리고 SDK에서 CPU 클럭은 111로 변경한 항목을 찾아서 적용하였습니다. NamulMP for PSP 3 2007/02/12 : DJ 님이 공개하신 한글 파일 리스트 소스를 적용하여 playlist.m3u 없이 한글 목록 출력 가능하게 개발 중이었으나. 계속 만들자니 기본 음악 플레이어에서도 한글 목록은 잘 나오게 되었습니다. PSP 펌웨어 2.0...

7.제적부 색인 프로젝트

제적부 색인 프로젝트 개발툴 : 델파이 7.0 DB : Firebird 개요 2004년쯤 프로젝트로 구청에서 오래된 문서(제적부)를 스캔하여 DB화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구청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오래된 1800년대 제적부(요즘으로 이야기하면 주민등록?)를 스캔받아서 DB화하는데 거기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습니다. 첫 번째 프로그램 뷰어+인덱스 프로그램 오래된 문서를 스캔받은 이미지(TIF)를 보여주고 스캔받은 이미지를 작업자가 한자를 읽어서 각각의 항목에 입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여러 사람이 스캔받은 이미지를 보면서 작업하기 위해서 로컬에 DB를 심어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DB는 파이어 버드(Firebird)를 사용하였습니다. 다른 DB는 PC에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데 로컬 동작하게 해서 프로그램이랑 이미지를 외장하드, USB에 저장한 후 작업 할수 있도록 제작 하였습니다. 각자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면서 입력한 정보는 프로그램 폴더에 있는 DB에 저장이 됩니다. 입력하는 정보들은 성명, 주소, 생일 등이었습니다. 스캔받을 대상의 종이가 정말 오래된 종이라서 스캔도 깨끗하게 되지 않아서 뷰어 기능에 기울기 자동 조정, 점 제거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당연히 확대 기능도 있었죠 두 번째 프로그램 DB 변환 각각의 작업자들이 로컬로 작업한 DB 파일들을 가지고 구청에 제출하기 위한 XML 형태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작업자들이 이미지 수가 많아서 작업자들에게 나누어서 작업했기 때문에 개별로 XML로 변환하여 구청에 제출하였습니다. 이전에는 계속 텍스트 파일 등을 사용했는데 XML 을 처음 사용해 봤어요!!! 저장된 DB 파일에서 XML Convert 하는 형태의 프로그램 입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우리나라 주민번호 체계 중에 1800년대 사람들에 대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1800년대 남자는 8, 여자는 9로 뒷자리가 시작됩니다. 데이터 베이스 Firebird를 처음 사용해 봤는데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아도 로...